공정한 대안을 찾는 사람들

공정한 대안을 찾는 사람들 [연구] 한국인의 한국을 경험하기! 데일리케이션이 바꾸는 외국인 관광
  • 공감만세
  • 2025-02-10
  • 292

여행정보

여행장소
한국
관련상품
데일리케이션 연구

한국인의 한국을 경험하기! 데일리케이션이 바꾸는 외국인 관광

 

글/사진_황가람 코디네이터

편집_황가람 코디네이터

 

 

'한국 사람들이 실제로 무엇을 먹는지 알고 싶나요?'

지난 해 여름, 이정재, BTS에 이어 뉴진스가 출연한 한국 관광 해외 홍보 유튜브 채널 '이매진 유어 코리아(Imagine Your Korea)' 영상이 화제가 되었던 것, 기억하시나요? 해당 영상은 '미식편', '체험편'으로 나뉘어 최근 방한 관광 흐름을 반영한 '검색으로는 알 수 없는, 한국 사람들이 알려주는 '찐' 한국여행'(Koeans' Korea)이라는 기획으로 제작되었죠. 더불어 'K100' 숏폼 시리즈도 기획되어 한국에서 하면 좋을 것에 대해 100인 100색의 추천을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영상 속에서는 '촌캉스', '카페투어', '퍼스널컬러진단' 등 실제 국내 트렌드인 관광 콘텐츠들을 추천하는데요. 그런데 이것이 바로 '데일리케이션'이라는 거! 혹시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공감만세 기업부설연구소가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연구하여 발간된 'K-라이프스타일 관광콘텐츠(데일리케이션) 현황분석' 연구 보고서를 중심으로 데일리케이션, 그리고 이번 보고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도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 이매진 유어 코리아 'K100' 숏폼 시리즈
 

공감만세 기업부설연구소는 한국관광공사와 2023년 진행한 '런케이션, 러닝 홀리데이 국내현황 및 유형분류' 연구를 시작으로 2024년에 'K-라이프스타일 관광콘텐츠(데일리케이션) 현황분석' 연구를 진행한 바가 있습니다. 공감만세 기업부설연구소는 2020년부터 생활인구, 고향사랑기부제, 관광 트렌드 등 지역 활성화, 도시 및 지역 정책 분야에 관한 연구를 해오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국내 관광정책 트렌드를 분석, 발표하고 새로운 형태의 관광유형을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죠. 
 

▲ 데일리케이션 카드뉴스1

 

데일리케이션(Dailycation)은 일상(Daily)과 휴가(Vacation)를 합친 단어로, 최근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의 한국 여행 트렌드 중 하나입니다. 이번 연구 주제가 된 데일리케이션은 기존 관광지보다 진짜 한국인이 가는 핫플레이스를 방문하면서, 한국인들의 일상을 경험하고 한국의 최신 트렌드를 빠르게 따라가려는 수요가 반영된 현상이죠. K-문화 콘텐츠의 확산과 여행에서 경험을 우선시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여행을 통해 콘텐츠를 직접 경험해보고 싶은 니즈가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보고서에서는 데일리케이션을 '해외에서 유행하는 한국 관련 SNS•미디어 콘텐츠에서 영감을 받아 한국인의 일상과 문화를 직접 체험하고자 하는 외국인 관광 트렌드'라고 정의하고 있죠.

▶외국인 여행객들 사이에서 한강이 유행이라며?(feat. 데일리케이션)(클릭)

 

▲ 데일리케이션 카드뉴스2

 

이처럼 데일리케이션과 미디어 콘텐츠는 떨어질 수 없는 관계입니다. 이에 보고서에서는 방한 예정인 외국인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한국의 데일리케이션 콘텐츠들을 2025년 대표 트렌드 키워드와 매칭해 Krunch Like Koreans(한국 사람처럼 씹고 뜯고 맞보기), Dive in Like Koreans(한국 사람처럼 덕질하기), Adorn Like Koreans(한국 사람처럼 꾸미기), Inhale Like Koreans(한국 사람처럼 호흡 고르기), Lounge Like Koreans(한국 사람처럼 여유 즐기기), Yell Like Koreans(한국 사람처럼 열정 불태우기), K-DAILY라는 한국만의 데일리케이션 테마를 제시했습니다. 각 테마별로 '한국인 꿀조합' 형태의 세부 콘텐츠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는 앞서  살펴봤던 뉴진스의 한국 관광 해외 홍보 영상에서도 담겨있는 내용과 유사합니다. 

▶외국인들이 관심 가질 만한 K-DAILY 조합은?(feat. 데일리케이션)(클릭)

 

데일리케이션이 방한 외국인들의 트렌드임은 부정할 수 없는데요. 그럼 우린 데일리케이션을 통해 관광의 흐름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또 앞으로 관광에 있어서 데일리케이션을 어떻게 접목 시킬 수 있을까요? 
 

▲ 데일리케이션 연관 이미지1

 

보고서에서는 데일리케이션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보고 있습니다. 첫 번째, 가상 감각의 확장. 두 번째, 타인 경험의 개인화. 세 번째, 대유행의 소멸 입니다. 

첫 번째 가상 감각의 확장은 가상으로 접한 요소를 직접 경험하며, 그 과정에서 감각의 확장 경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외국인 여행객은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에서 한국 문화를 먼저 접한 후 방문하는 경우가 많죠. 여행 전에는 SNS와 미디어를 통해 시각 중심으로 간접 경험을 하지만, 여행 중에는 음식, 자연, 소리, 향기 등 오감을 통해 경험의 범위가 확장됩니다. 

두 번째 타인 경험의 개인화는 타인이 경험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개별 경험을, 그리고 이를 다시 공유하며 자신이 타인이 됨을 의미합니다. 여행객들은 타인의 경험을 참고하면서도 자신의 취향에 맞춘 개별적인 경험을 원하죠. 여행 전에는 검증된 콘텐츠를 선호하여 리뷰와 팁을 참고하고, 여행 중에는 사전 조사한 정보를 활용해 자신만의 경험을 시도한 후 이를 다시 공유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 대유행의 소멸은 말 그대로 대중적인 유행의 부재와 개별 관심사에 따른 파편화된 트렌드가 유효함을 의미하죠. 최근에는 특정 관광지가 대유행하는 경우가 줄어들고, 개별 관심사에 따라 여행 트렌드가 더욱 세분화되고 있습니다. 미디어의 다변화로 국가 및 연령별 공통 트렌드는 약화되었으며, 개별적이고 파편화된 유행이 증가하고 있죠. 
 

▲ 데일리케이션 연관 이미지2
 

위 시사점들을 미루어 봤을 때, 앞으로 관광에 있어서 '체험형 콘텐츠', 'UGC(사용자 생성 콘텐츠) 기반 관광 정보 활성화', '특화 관광지 발굴 및 개별 취향 맞춤형 여행'이 중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데일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외국인 관광객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유입하고, 지역의 경쟁력 있는 관광 산업을 구축하기 위해선 로컬 크리에이터나 소규모 여행 인플루언서와 협력하는 것이 중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은 지역에 매력과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에 대응할 수 있고, 기존의 대형 관광지 중심에서 벗어나 개별 취향을 반영한 특화 관광지를 발굴하고 홍보하는 것에 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을 활용하여 지역의 매력을 담으면서 특정 관심사에 맞춘 테마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직접 남긴 리뷰, 영상, SNS 게시물 등의 최신 관광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하 신뢰도 높은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온라인에서 접한 한국을 현실에서 더욱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 특성을 담은 다양한 체험형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더불어 또한 VR·AR을 활용한 가상체험 및 현실 연계 프로모션을 도입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겠죠. 

 

이들과 협력하여 지역의 매력을 최대한으로 담은 최신 관광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중요해질 것 입니다.

이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에 대응할 수 있고, 기존의 대형 관광지 중심에서 벗어나 개별 취향을 반영한 특화 관광지를 발굴하고 홍보하는 것에 능합니다.

 

데일리케이션은 단순한 여행 트렌드를 넘어,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의 일상을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데일리케이션은 미디어 콘텐츠가 영감이 되어 한국의 일상 및 문화를 체험하려는 관광 트렌드이기 때문에 2030세대 중심이면서 도시 중심적인 양상을 보입니다. 도시가 아닌 소도시, 지방 등의 지역들도 데일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외국인 관광객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유입하고, 경쟁력 있는 관광 산업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 가운데, 공감만세 기업부설연구소는 계속해서 지역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적 방안을 발굴하고, 모색하며 지속가능한 관광이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연관 콘텐츠 보러가기!>
데일리케이션, K-컬처의 중심이 될까? 한국관광공사 'K-라이프스타일 관광콘텐츠 현황분석' 최종보고(클릭)

한국관광공사와 K-라이프스타일 관광콘텐츠(데일리케이션) 현황 분석 연구 시작!(클릭)

 

사회적기업 ㈜공감만세는 지역 문제 해결과 지역 활성화를 돕는 대안을 발굴 및 실행합니다. 지속가능관광, 고향사랑기부제 키워드로 국내외연수, 연구&컨설팅, 생활인구 증대 사업,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운영, 국제교류 등 다양한 방식을 시도합니다. 
더불어 지속가능관광지방정부협의회 사무국으로 활동하며, 지속가능한 관광 산업을 통한 인구 및 지역소멸 문제 해소 방안에 관한 활동도 이어 오고 있습니다.

문의) 070-5147-8798